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25 First Stand Tournament]] == ||<-2><tablebordercolor=#ff6b01><bgcolor=#ff6b01><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750> '''{{{#fff Hanwha Life Esports}}}''' || ||<-2><nopad> [[파일:2025 FST HLE.jpg|width=100%]] || ||<width=22%><colbgcolor=#ff6b01><colcolor=#fff> '''감독''' ||[[최인규(1994)|최인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9em" {{{#fff DanDy}}}}}}]]|| || '''코치''' ||[[이재하(1998)|이재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9em" {{{#fff Mowgli}}}}}}]]|[[신동욱(e스포츠)|신동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9em" {{{#fff Shine}}}}}}]]|| || '''분석''' ||[[김현식(e스포츠)|김현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9em" {{{#fff Bibra}}}}}}]]|| ||<-2><bgcolor=#959a9d> '''{{{#24282b 로스터}}}'''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height=25]] '''TOP''' ||<width=78%>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0. [[최우제|최우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em" {{{#fff Zeus}}}}}}]]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 '''JGL''' ||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1. [[한왕호|한왕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em" {{{#fff Peanut}}}}}}]]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 '''MID'''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7.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em" {{{#fff Zeka}}}}}}]]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 '''BO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 [[박도현(2000)|박도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em" {{{#fff Viper}}}}}}]]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 '''SP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4. [[유환중|유환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em" {{{#fff Delight}}}}}}]] ||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ce5e7><tablebgcolor=white,#1c1d1f><bgcolor=#45002c><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4deg, #ECE5E7 23%, transparent 23%), linear-gradient(-18deg, #45002c 26%, transparent 26%), linear-gradient(-54deg, #ECE5E7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36deg, #ECE5E7 23%, transparent 23%), linear-gradient(-19deg, #45002c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36deg, #ECE5E7 25%, transparent 25%)"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오렌지.svg|width=25]] [[First Stand Tournament|{{{#ff5500 '''2025 First Stand Tournament'''}}}]] '''{{{#ff5500 경기 결과표}}}'''}}} || ||<-2><rowbgcolor=#ECE5E7><rowcolor=#45002c> '''라운드''' ||<-4>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5><bgcolor=#45002c><color=#ff5500> '''최[br]종[br]순[br]위''' || '''4강''' || '''결승''' || ||<-2><colbgcolor=#ECE5E7><colcolor=#45002c> '''팀''' || [[Top Esports|[[파일:TES 로고 2019.svg|width=25]]]] || [[CTBC Flying Oyster|[[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width=25]]]] ||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height=22]]]] || [[Team Liquid Honda|[[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height=25&theme=light]][[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height=25&theme=dark]]]] || [[Top Esports|[[파일:TES 로고 2019.svg|width=25]]]] ||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height=22]]]] || ||<|2> '''세트''' ||<bgcolor=#ECE5E7><color=#45002c> '''승''' || 2 || 2 || 2 || 2 || 3 || 3 || ||<bgcolor=#ECE5E7><color=#45002c> '''패''' || 0 || 0 || 1 || 1 || 0 || 1 || ||<-2> '''결과''' ||<-4><bgcolor=#87cefa>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전승''' ||<|5><bgcolor=#87cefa> 결[br]승[br]진[br]출 ||<|5><bgcolor=#ffd700> '''우[br]승''' || ||<|2> '''전적''' ||<bgcolor=#ECE5E7><color=#45002c> '''승''' || 1 || 2 || 3 || 4 ||<bgcolor=#ECE5E7><color=#45002c> '''4''' || ||<bgcolor=#ECE5E7><color=#45002c> '''패''' || 0 || 0 || 0 || 0 ||<bgcolor=#ECE5E7><color=#45002c> '''0''' || ||<-2> '''득실''' || +2 || +4 || +5 || +6 ||<bgcolor=#ECE5E7><color=#45002c> '''+6''' || ||<-2> '''순위''' ||<-4><bgcolor=gold> 1 ||<bgcolor=#ECE5E7><color=#45002c> '''1''' || 창단 이후 월즈가 아닌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나가게 되었고, 첫 퍼스트 스탠드 LCK 대표로 나가게 되었다. LCK를 대표하는 강팀을 모두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에서는 증명을 마쳤으나, 아무리 국내 성적이 매우 좋아도 국제 대회 성적이 따라 주지 못하면 최고의 팀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고, 작년 월즈에서 최인규 감독을 필두로 8강 광탈이라는 좋지 못한 성적을 받으며 절치부심했던 한화생명 입장에서는 국제 대회 우승을 통해 확실한 증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국제전 성적이 좋은 LCK 입장에서도[* 2023 월즈 T1 우승, 2024 MSI 젠지 우승, 2024 EWC T1 우승, 2024 월즈 T1 우승으로 4개 대회 연속으로 LCK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라이엇 주관 대회로 한정해도 3연속 우승이다.] 기세와 자존심을 이어가야 하는 과업을 맡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건은 역시 최인규 감독을 비롯한 감코진들이 상대 팀 분석과 변화된 메타 파악을 얼마나 잘 해와서 밴픽을 잘해내 작년 월즈의 참사를 극복하느냐라고 볼 수 있는데, 최인규 감독이 명장으로 평가되지 못하는 굴레가 바로 단기 메타 해석 실패와 국제 대회 상대 팀 분석 실패로 인한 작년 월즈 8강 참사 때문이었기에[* 파멸적인 탑 차이로 진 것도 사실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감코진의 밴픽에 있다는 지적이 많았을 정도로 감코진의 책임이 컸다는 평이 많았다.] 이번에야말로 국제전 우승을 통해 자신에 대한 평가를 반전시킬지가 관건이다. 감코진뿐만 아니라 모든 선수가 국제전에서 증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제우스는 T1을 나오고 처음 치르는 국제전에서 이전만큼의 파괴력을 보여 줄 수 있는지, 피넛은 최근 2년간 국제전에서의 약세, 특히 LPL 팀을 상대로 좋지 못한 전적을 극복할 수 있는지[* TES의 카나비는 LPL 정상급 정글러이다. 거기에 LCK에서는 많이 이겼지만 최근 국제전 경험도 풍부한 데다가 롤파크 적응에 가장 용이하고 작년 인스파이어드의 누누에 혼쭐난 점 때문에 LTA 대표 엄티도 위험할 수 있다.][* 게다가 TES의 탑과 정글은 전통의 조합인 369-카나비라서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물론 제우스가 369 상대로 매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지만, 이번에는 피넛과 호흡을 맞추다 보니 합에서는 아직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제대회에서 제우스와의 호흡이 얼마나 잘 맞느냐가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카는 의외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LPL 미드 라이너와의 대결에서[* 2020~2021 시즌에 LPL 미드 라이너로 뛰면서 좋은 활약을 보여 주기도 했지만 스프링에는 전체적으로 부진했고, 특히 [[중국인]] 미드 라이너들 상대 전적이 좋지 못했다. 물론 LCK 복귀 이후 만난 LPL 중국인 미드는 샤오후와 나이트 둘뿐이라서 표본이 부족하지만, 나이트 상대로는 작년 월즈 8강 다전제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 주고 패배를 거두었기에 중국인 미드라이너들 상대로 확실하게 증명해야 한다.][* 호재인 부분은 LPL 스플릿 1에서 나이트의 BLG가 예선에서 DRX 시절에 제카의 코로나 이슈로 땜빵 출전을 했던 세탭의 TT에 발목이 잡혀 조 2위가 되며 패자조로 떨어졌고, 패자조 준결승에서 TES에 패배하며 탈락했으며, 결국 상대는 TES의 크렘으로 확정되었다는 것이다. 크렘은 작년에야 국제전을 처음 치렀고 MSI, EWC, 월즈까지 거치며 단기간에 많은 국제전 경험을 쌓았지만 나이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체급이 낮다는 평이 많다. 하지만 그 나이트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하여 우승을 거두었고, MSI와 EWC에서 쵸비 상대로 대등하거나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 준 바도 있었기에 현재 LPL 최고의 중국인 미드라이너이므로 확실하게 경계할 상대이다.] 얼마나 좋은 모습을 보여 줄지, 바이퍼는 월즈가 아닌 첫 국제 대회에서[* LCK 시절은 물론 LPL 시절에도 유독 스프링과 인연이 없어서 MSI 출전 경험이 없다. 그래서 이번이 봄에 열리는 국제 대회 첫 출전이다. 게다가 상대도 월즈 우승 출신에 최근 기량이 물오른 재키러브라서 쉽지 않은 대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LPL과 LCK를 제패한 그 폼을 그대로 보여 줄 수 있을지, 딜라이트는 2023~2024 시즌 국제전 부진을 극복하고 이번 LCK 컵에서 만나는 상대마다 서포터 차이를 내며 우승에 기여한 최고의 서포터의 기량을 제대로 보여 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팀적으로도 전신이자 전성기였던 [[락스 타이거즈]] 시절에 결국에는 이루지 못했던 국제전 우승의 꿈에 도전할 수 있는 천금같은 기회이고, 우승하게 된다면 T1, 젠지, 디플러스 기아, DRX 다음으로 국제전을 우승한 다섯 번째 LCK 팀, 초대 퍼스트 스탠드 우승 팀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을 뿐더러 한화생명이 e스포츠에 거액을 투자했던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기업 홍보에도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비록 대회 규모는 크지 않지만 굉장히 의미 깊고 중요한 대회라고 할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